법학- 보충지식(형사) 12

질식사의 분류

질식사(Asphyxia) ※ 주의 : 작성자는 법의학 전공자가 아니며 아래 내용은 국내외 문헌들의 내용을 종합한 것임을 밝힙니다. 질식사의 의미 질식사란 호흡에 의한 생리적 가스교환이 중단되어서 사망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외호흡에 장애가 발생해 사망한 외질식사와 내호흡에 장애가 발생한 내질식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며, 법의학에서는 주로 외질식사가 문제된다. - 외질식사 : 폐 등 호흡기관이 외부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이고 체내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외호흡이 방해받아 사망하는 것으로서, 바깥의 공기가 폐까지 오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이다. - 내질식사 : 폐 내로 흡입된 산소가 세포에 공급되어 산화되는 내호흡에 문제가 생겨 사망하는 것으로서, 바깥 공기가 폐까지 오는 과정에는 문제가 없지만 폐에서 ..

화재사

화재사(Death due to fire) ※ 주의 : 작성자는 법의학 전공자가 아니며 아래 내용은 국내외 문헌들의 내용을 종합한 것임을 밝힙니다. 화재 사망의 주요 원인 1) 일산화탄소, 유독가스 흡입으로 인한 사망 2) 저산소로 인한 질식사 3) 화염에 휩싸여 소사 그 외에도 뜨거운 공기를 마시고 기도에 부종이 발생하여 곧바로 사망하거나 호흡부전이 발생하여 사망할 수 있고 화염에 전신이 노출되며 원발성 쇼크로 사망할 수 있다. 징후 1. 투사형 사체 사후 시체에 열이 가해지면 골격근이 열경직을 일으키고 인체의 근육이 수축하게 된다. 이 때 굽히는 근육인 굴근(이두근 등)이 펴는 근육인 신근(삼두근 등)보다 더 많고 더 강하게 수축되기 때문에 시체는 팔이 당겨져 마치 권투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로 ..